반응형 교과서 밖 지구과학132 우리나라 주변 해수의 계절별 표층 수온 변화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 연교차가 크게 나타난다. 이는 비단 기온만 크게 변화하는것이 아니다. 월별, 계절별로 해수온도 매우 크게 변화한다. 이번에는 표층 해수온의 변화에 대해 글을 쓰고, 다음번에는 계절별로 혼합층, 수온약층, 심해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실측 자료를 통해 알아볼 예정이다. 표층 해수온의 변화는 위성해양정보시스템이라는 곳에서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서 관측한 일별, 주별, 월별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아래 위성해양정보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하면 누구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위성해양정보시스템 2018/03/22 NPP VIIRS RGB Image 2018-06-11 www.nifs.go.kr 본 포스팅을 위해 사용한 데이터는 주별 관측 평균 데이터이며, 2021년 02월.. 2022. 2. 15.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 주계열 맞추기 지난 포스팅에서 연주시차를 이용하여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다.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 연주시차 천문학자들은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해서 별의 거리를 측정하고자 한다. 그 중에서 직접적인 방법으로 측정 할 수 있으며, 오차가 가장 적은 방법 중 하나가 시차를 이용한 측정 방법이다. 이번 kalchi09.tistory.com 연주 시차를 이용한 별의 거리 측정방법은 정확도가 매우 높지만, 멀리 있는 천체는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너무 멀리있는 천체의 경우 연주 시차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할 수 없다. 연주시차를 이용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많이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주계열 맞추기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히아데스 산개성단의 경우 47pc으로 비교적 거리가 가까운 성단이기 때문에, 겉보기.. 2022. 2. 11. 태백으로 떠나는 지질여행 - 구문소 구문소는 강원도 태백시 동태백로 11에 위치한 곳으로, 물살이 매우 센 천과 멋진 절벽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는 곳으로, 전기 고생대에 생성된 석회지층이다. 고생대 퇴적지층으로 교과서에서 엄청나게 많이 언급하고 있는데, 교과서에서 굉장히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이곳은 그럴만도 한 것이 일단 매우 아름답고, 석회암 퇴적지층이 굉장히 잘 발달하여 있으며, 삼엽충, 스트로마톨라이트 등과 같은 다양한 고생대 화석이 매우 잘 보존되어 산출되고 있다(그런데 멀쩡한 삼엽충은 죄다 캐가고 없다..ㅠㅠ). 우선 이곳의 지층은 거의 대부분이 석회암층과 셰일층이라고 한다. 층의 생성시기는 하천이 흐르는 동굴 방향으로 갈 수록 더 오래된 지층이며, 동굴 쪽 인근이 선캄브리아시대에 형성된 지층이라고 한다. 하천이 흘러가는 방.. 2022. 2. 10. 아날렘마 - 태양이 1년동안 하늘에 그리는 8자(스텔라리움 타임랩스) 1년동안 같은 장소에서 같은 방향으로 태양을 촬영하면 위 사진과 같이 매일 태양의 위치가 달라지며 나타나는 8자 곡선이 나타난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변을 공전함에 따라 나타나는 태양의 고도 변화와 평균 태양시를 사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균시차(추후 포스팅할 예정)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태양의 시운동 현상으로, 태양이 1년 동안 그리는 8자 곡선을 아날렘마(analemma)라고 한다. 아날렘마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같은 시간(예를들어 오전 10:00), 같은 장소에서 카메라의 각도가 전혀 틀어지지 않은 채로 촬영해야지만 1장의 사진을 건질 수 있는 초 고난도, 노가다의 산물이다. 특히 날씨의 영향을 무지하게 많이 받는 관계로 연속적인 타임랩스를 촬영하기란 거의.. 2022. 2. 9. 해수의 염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위도별 염분분포 해수의 수온이나 염분은 해수 밀도에 영향을 주고, 해수의 흐름에도 변화를 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물리량이기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해양을 연구할 때 반드시 측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보통 수온 - 염분도(T-S Diagram)라는 그래프에 이들을 표시하고, 각 해수층의 특성을 연구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염분에 대한 글을 써내려가려 한다. 해수의 염분에 주는 요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위도별 염분의 변화(남극과 북극의 특이한 패턴도 함께)가 나타나는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함께보면 좋습니다 해수의 염분 단위는 어째서 퍼밀(‰)에서 psu로 바뀌었을까? 환경에 따라 해수 1kg에 녹아있는 염분이 다르기 때문에 바닷물마다 염분의 양이 달라진다. 또한 미세한 염분의 차이로 바닷물의.. 2022. 2. 8. 천체 망원경 구매시 고려해야 할 요소 - 망원경 구매 가이드 천체관측이라는 취미를 갖게 된 것은 대학교 1학년 때 부터이고, 망원경이라는 것을 구입하면서 활동을 한 것은 10년이 조금 넘는다. 이 기간 중 과학고 천문대에서 5년을 근무하며 평생 만져보지도 못할 값비싼 망원경을 만져본 경험도 있고, 여러 기관을 다니며 특강도 많이했다. 광학 분야가 아닌 전파 천문학 분야로 학위 연구를 하긴 했으나 어쨌든 학위도 천문학으로 받았으니, 아마추어 활동부터 시작하여 천문학 분야로는 다양하게 이것저것 해 본것 같다. 그러다보니 주변에 아는 분들이 망원경 구입과 관련하여 많은걸 물어보곤 한다. 그도 그럴것이 주변에 마땅히 물어볼 곳이 없으니 그나마 활동을 하고 있는 필자에게 많이 물어보는 것 같다. 이에 천체 망원경 구입을 고려하는 분들이 자료를 찾으며 도움이 될 내용을 조금.. 2022. 2. 4.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 연주시차 천문학자들은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해서 별의 거리를 측정하고자 한다. 그 중에서 직접적인 방법으로 측정 할 수 있으며, 오차가 가장 적은 방법 중 하나가 시차를 이용한 측정 방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인 연주시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번외지만, 연주시차만큼 정확한 거리 측정방법이 있는데, 이는 운동성단을 이용한 운동성단 시차(moving cluster parallax)라는 방법이 있다. 이는 나중에 포스팅할 예정) 1. 역사 연주시차의 역사는 꾀 오래전인 15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에 관측을 엄청 잘했던 것으로 유명한 티코 브라헤라는 천문학자가 있었는데, 티코는 여러가지 이유로 지동설(태양이 우주의 중심에 있고, 지구는 태양 주변을 .. 2022. 2. 3. 전향력 최대한 쉽게 이해하기 전향력과 관련된 내용은 인터넷을 뒤지면 수도없이 나온다. 이에 전향력에 관한 글은 쓰지 안쓰려 했는데, 앞으로 포스팅을 위해서는 한 번 쯤은 언급하는것이 좋을 것 같아 쓰게 되었다. 하지만 전향력을 이해하는것은 쉽지만은 않다. 그럼에도 전향력이 수도없이 논의되는 것은 대기와 해양의 운동을 이해함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내용이며,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전향력은 빠짐없이 나온다. 하지만 자세한 원리를 다루지는 않는다. 전향력 자체가 어려운 개념이니 여기서는 수식과 유도과정은 최대한 배제한 채로, 전향력을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 아래 영상은 전향력에 관하여 촬영한 것입니다. 1. 전향력의 정체 사실 전향력은 일종의 관성과도 같다. 그래서 지구 밖에서 볼 수만 있다면 쉽게 이해되는 부분인데, .. 2022. 1. 21. 전선 - 성질이 다른 두 공기가 만났을때 발생하는 현상 지난 포스팅에서 기단이라는 것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기단에 대한 기본 기단은 비교적 내용이 쉬워 기초적인 내용을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잘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물어보면 잘 대답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번에는 기단에 대하 kalchi09.tistory.com 이번에는 성질이 전혀 다른 두 공기덩어리가 충돌했을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차갑고 건조한 공기와 뜨겁고 습한 공기가 충돌하는 극단적인 상황을 예를들어 보고자 한다.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을 섞으면 당장은 차가운 물이 아래에 깔리고 뜨거운 물이 위에 놓이게 된다. 두 물이 바로 섞이지 못하는건 온도차이에 의한 밀도차가 크기 때문이다. 밀도가 크게 다른 두 액체는 섞이지 못한다. 물과 기름이 섞이.. 2021. 5. 10. 이전 1 ··· 5 6 7 8 9 10 11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