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과서 밖 지구과학132

동해의 냉수대 - 여름에 바닷물이 차가워지는 신기한 현상 매년 5월에서 8월 사이에 동해 연안 표층 바다 수온이 갑자기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바닷물이 너무 차가우니 들어가지 말라는 주의보도 가끔 발령한다고 하는데, 이렇게 갑자기 차가워지는 바닷물을 냉수대라고 합니다. 냉수대 현상은 표층 해수온이 평년에 비해 3~5도 이상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표층 해수온을 측정하여 평소와의 기온편차가 어떻게 되는지를 통해 냉수대 발령을 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국립 수산 과학원에서 냉수대를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1. 원인 사실 냉수대는 그리 어려운 현상은 아닙니다. 이미 지구과학 I을 배운 학생들은 이 현상의 원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바로 연안 용승이 주된 원인입니다. 5월~8월 동해에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으로 남풍이 불면, 전향력에 의한 .. 2022. 5. 2.
명왕성 -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된 이유 명왕성은 미국의 클라우드 톰보에 의해 1930년에 발견된 태양계의 왜소행성입니다. 발견 당시에만해도 어엿한 행성이었지만, 2006년 IAU는 태양계 행성을 새롭게 정의하면서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해 버렸습니다. 오늘은 바로 이 명왕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궂이 인터넷을 뒤지면 수도없이 많이 나오는 정보임에도 포스팅하려는 이유는, 명왕성의 태양계 퇴출 이유가 대부분 다소 어렵게 설명된 측면이 없지않아 있어, 이를 최대한 쉽게 풀어서 이야기 해 보려 함입니다. 또한, 너무 많은 내용보다는 꼭 알아두면 좋을 법한 내용만 추려서 이야기 해 보고자 하니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는 분들은 위키피디아나 관련 서적, NASA 홈페이지를 참고하는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1. 발견의 역사 서두에.. 2022. 4. 30.
안개의 종류와 안개가 만들어지는 원리 안개는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기상현상 중 하나이며 생성 원리에 따라 종류도 다양합니다. 바다에서 종종 볼 수 있는 해무(이류안개), 대륙에 사는 사람들이 흔하게 보는 복사안개, 전선안개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안개의 종류와 형성 과정의 원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안개의 발생 원리는 크게 공기의 냉각과 수증기 공급(증발)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공기의 냉각 : 복사안개, 이류안개, 활승안개 수증기 공급(증발) : 김안개, 전선안개 1. 복사안개 복사안개는 일일 기온차가 심한 날 내륙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안개입니다. 지표면의 복사냉각이 가장 큰 원인이며 이로인해 보통 새벽에 발생하고 해가 뜨면서 사라집니다. 그 원리를 자세하게 보면, 1) 해가지고 밤이된.. 2022. 4. 29.
신기한 토성 - 태양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성 태양계에서 2 번째로 큰 행성인 토성은 밤하늘에서 꾀나 밝은 별로 보여, 목성만큼은 아니지만 굉장히 찾기가 쉽고, 소형 망원경으로도 고리를 확인할 수 있어 천체관측을 할 때 단골로 보는 대상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이 토성에 대한 이야기 중 잘 모를 수 있는 내용들 위주로 다루어 볼 까 합니다. 1. 개요 목성과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뒤지면 수없이 많이 나오지만, 글의 흐름 상 중요한 토성의 스펙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궤도 긴반지름 : 9.54AU(1,426,725,413km) 이심률 : 0.054 공전주기 : 10,756.1995일(29.45년) 회합주기 : 378.1일 평균공전속도 : 9.639km 적도 기준 지름 : 120,536km(지구의 9.4배) 편평도 : 0.097 부.. 2022. 4. 27.
신기한 목성 - 우리가 그냥 지나쳤을 법한 목성의 신비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 부피와 질량이 가장 큰 행성으로, 조금만 더 컸으면 별이 될 수 있었을 뻔한 어찌보면 비운의 행성(?) 이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몰랐던 신기한 목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1. 목성의 개관 목성의 부피, 질량 등과 같은 기본적인 스펙은 다른 곳을 찾아도 많이 나오지만 글의 흐름상 우선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궤도 긴반지름 : 5.2AU(778,547,200km) 근일점과 원일점 : 4.95AU, 5.46AU 공전주기 : 11.86년 궤도 경사 : 1.3도 궤도 이심률 : 0.048 위성 수 : 79개(엄청 많네요;;;;;) 지름 : 139,822km 부피 : 1.431×10^15km³ 밀도 : 1.326g/cm³ 질량 : 1.9×10^27kg 중력 : .. 2022. 4. 26.
남극 빙하와 북극 빙하가 녹으면 벌어질 일(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남극이나 북극의 빙하가 녹아 없어지고 있다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넜다는 다소 가슴아픈 이야기도 전해져 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남극 빙하와 북극 빙하가 녹았을 때의 해수면 상승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우선 지구 온난화에 의해 발생하는 해수면 상승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첫째는, 대륙빙하가 녹으면서 바닷물의 절대량 자체가 증가하여 해수면이 올라가는 것이고, 둘째는, 기후 상승으로 바다가 따뜻해 짐에 따라 나타나는 부피 팽창, 다시말해 열팽창이 원인입니다. 기후가 따뜻해지고 이로인해 빙하가 녹으면서 이 두가지 원인에 의해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는데, 더욱 무서운것은, 빙하가 녹으면서 태양복사의 반사율이 낮아지고, 흡수율이 높아.. 2022. 4. 22.
신기한 해류 - 적도잠류(크롬웰 해류) 해양 분야의 지난 포스팅에서 적도 반류에 대해 다루었던적이 있습니다. 생각지도 못하게 많은 분들이 보셨던것 같은데, 이번에는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지만 꾀나 중요하고 신기한 해류 중 하나인 적도 잠류에 대해 다루어 볼 까 합니다. ** 적도 반류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https://kalchi09.tistory.com/65 신기한 해류 적도반류(엘니뇨/적도반류와 함께)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바닷물의 흐름을 일반적으로 해류라고 한다. 해류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다. 1) 바람에 의해 발생(취송류) 2) 해수 밀도차에 의해 발생(밀도류) 3) 해수 표면의 경사에 kalchi09.tistory.com 1. 적도잠류의 개요 적도잠류는 T. 크롬웰에 의해 1951년도에 발견된 특이한 해류입니다. 적도잠류는 적도.. 2022. 4. 22.
광물의 깨짐과 쪼개짐 광물의 특성중 깨짐과 쪼개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광물에 외력을 가했을 때 산산조각나는지 혹은 특정한 모양으로 박살나는지를 가지고 구분하는 기준입니다. 예를들어 흑운모는 종이처럼 찢어지는가 하면, 암염은 네모나게 쪼개집니다. 이에 반해 석영이나 감람석은 특정한 모양 없이 박살납니다. 깨짐(fracture)이라는 것은 외력을 가하면 광물이 박살나버려 잘린면이 평탄하지 않은 것을, 쪼개짐(cleavage)이라는 것은 광물이 특정 모양으로 박살나면서 평탄한 면이 있는 것을 의미. 1. 깨짐(fracture) 외력을 가했을 때 불규칙적으로 박살나면서 평탄한 면이 없는 경우인데, 대표적으로 석영이나 감람석, 처트, 흑요석 같은 아이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런 아이들은 주로 원자의 결합구조에 유달리 약한 곳.. 2022. 4. 22.
편서풍파동과 상층 대기의 수렴 및 발산, 그리고 온대저기압 대저기압을 설명하기 위해 참 먼 길을 왔습니다. 지균풍, 경도풍 부터 시작하여 여기까지 왔네요. 이제 중위도 날씨 현상을 설명할 포스팅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편서풍파동은 북반구 중위도 지방의 상층 대기에서 서에서 동으로 부는 바람이 뱀처럼 사행하며 나타나는 파동을 총칭합니다. 편서풍 파동은 중위도 지방의 날씨 변화에 엄청나게 많은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남북간의 에너지 수송에도 큰 기여를 하는 매우 중요한 현상입니다. 이번 포스팅부터 이런 편서풍 파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파동의 원인 파동이 생기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기본적 원인은 지구의 자전과 남북간 온도차이입니다. 파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2.. 2022.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