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과서 밖 지구과학132 태풍에 대하여 이해하기(feat. 태풍의 북상 이유와 함께) 매년 여름철이면 우리나라를 찾는 강력한 비바람이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 할 주제인 태풍이라는 아이입니다. 거의 매년 우리나라를 찾으며 많은 피해를 입힘과 동시에 에너지 수송, 가뭄해소 등의 역할을 하여 반드시 필요한 기상현상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태풍이 온다는 예보가 있으면 반드시 잘 대비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 함께보면 좋습니다. 한반도의 위험했던 태풍 - 셀마를 아시나요? 태풍 셀마(Thelma)는 1987년 우리나라를 습격하였던 유래없이 강한 태풍 중 하나였다. 최 전성기였던 7월 11일을 기준으로 최저기압은 911hPa, 10분 평균 최대풍속 51m/s, 1분 평균 최대풍속 65m/s, 최대 크 kalchi09.tistory.com 태풍 힌남노의 특이한 이동 경로.. 2022. 5. 25. 지진파 - P파와 S파 이해하기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지진은 일반적으로 지표면에 사는 인간과 생명체에 많은 피해를 줍니다. 하지만, 지진파를 잘 활용하면 지하 내부 물질의 분포, 물질의 종류 등을 알아낼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중에서도 P파와 S파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 함께 보시면 좋습니다 판 구조론 - 판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지진 앞서 포스팅에서는 판의 경계에서 서로 다른 마그마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하여 서술해 보았다. 이번에는 판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대하여 다루어 볼 계획이다. 1. 지진의 발생원리 kalchi09.tistory.com 1. 지진파의 종류 지진파는 크게 지하 내부를 진행하는 실체파와 지표면을 따라 진행하는 표면파로 구분합니다. 실체파는 다시 파의 진.. 2022. 5. 23. 금성 - 하늘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행성 제가 군생활을 시작하며 훈령병 시절 훈련소에 있었을 때가 겨울이었습니다. 새벽 5시 쯤에 연병장에 나가면 항상 비슷한 위치에 엄청나게 밝은 별이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엄청 춥고 힘들어서 그랬는지 그때 그 밝은 별이 더 춥게 보였는데 뭐가 저리 밝지라는 생각만 했을 뿐 그때까지만 해도 그게 뭔지는 잘 몰랐습니다. 그때 봤던 그 밝은별은 금성이었습니다. 오늘은 밤하늘에서 달을 빼고는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인 금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1. 개요 지난번 행성에 관한 이야기를 했을 때 처럼 우선 금성의 스펙을 먼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역시 위키피디아나 서적등을 참고하시면 많이들 나옵니다만, 너무 전문적인 내용이나 어려운 내용을 제외하고, 꼭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만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궤.. 2022. 5. 19. 수온 - 염분 도(T-S Diagram) - 해수를 연구하는 기본(feat. 밀도가 같은 해수를 섞었을 때 변화와, 빈 수온 - 염분도 다운하기) 해양학자들이 바다를 연구할 때 많이들 사용하는 그래프로 수온 - 염분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교과서에서 수온 - 염분도라고 소개가 되어 있어 학생들은 이렇게들 많이 배우지만, T - S Diagram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수온 - 염분도에 대해 알아보고, 실습때 써먹으려고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수온 - 염분도를 찾다찾다 마음에 안들어 제가 직접 만들어 버린 수온 - 염분도를 함께 올려둘 터이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ㅎㅎㅎ 1. 개요 그래프의 이름이 수온 - 염분도이긴 하지만, 3개의 데이터가 포함되는 그래프입니다. 3개 데이터란 수온, 염분, 그리고 밀도인데, 수온과 염분을 관측한 값을 그래프에 찍으면 자동적으로 밀도가 계산되기 때문에 어찌보면 .. 2022. 5. 17. 고생대를 주름잡은 삼엽충 - 태백에서 관찰한 삼엽충 화석과 함께 삼엽충은 고생대 퇴적지층에서 나타나는 화석으로, 고생대를 대표하는 매우 유명한 화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생대의 대표적인 화석 삼엽충에 대해 포스팅 할 예정이며, 영월에서 관찰한 화석들 처럼 실제로 제가 가서 촬영한 사진을 함께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삼엽충은 고생대를 대표할 만큼 엄청나게 많이 알려진 화석이어서 인터넷이나 참고서만 뒤져도 많이 나오지만, 궂이 포스팅하는 이유는 실제 촬영한 화석을 보여드리기 위함이니, 자세한 내용은 서적이나 위키피디아 등을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너무 전문적인 내용들 말고 우리가 꼭 알아야하는 내용 위주로 다룰 예정입니다. 1. 개요 삼엽충은 고생대 캠브리아기(Cambrian) 지층에서부터 고생대 말인 페름기(Permian) 지층까지 모두 나타나는 화석입니다. 이를.. 2022. 5. 17. 천체 관측 최악의 방해꾼 빛공해 얼마 전 서울 N타워 방문 후기에 대한 글을 포스팅 하였습니다. 서울의 야경이 아름답다는 분들이 많으며, 이해가 가는 부분이긴 합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 서울 남산 꼭대기에서 바라본 서울의 인공 조명들, 솔찍히 좀 징그러웠습니다. 별이 보여야 할 하늘에 별은 단 하나도 보이지 않았고, 오로지 도시의 불빛 뿐이었습니다. 위의 사진은 제 블로그의 메인 사진이기도 한, 태기산에서 촬영한 은하수입니다. 서울의 밤하늘과 태기산의 밤하늘 중 어느 밤하늘이 얘쁘냐 묻는다면, 당연히 태기산의 밤하늘일 것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한국 사람들의 대부분은 큰 도시에서 살고 있고, 아마 평생 저렇게 아름다운 밤하늘, 특히 은하수가 무엇인지 본 적이 없는 분들이 허다할 것입니다. 실제로 2015년도에 학생들과 고속버스 터미.. 2022. 5. 15. 태양 필터를 이용한 태양 관측 - 흑점 관측과 주연감광현상 태양을 관측하는 방법은 정말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맨 눈으로 관측 할 수도 있고, 봉지과자의 봉지를 눈에 대고 볼 수도 있습니다. 오늘 설명할 내용은 태양필터 중 흑점관측필터(ND 필터)를 사용하여 태양을 관측했을 때 볼 수 있는 자연현상입니다. 잘 알려진 것처럼 흑점 관측 필터를 이용하면 태양의 흑점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흑점 뿐 아니라, 보통 그냥 간과하고 넘어가는 주연 감광(limb darkening)현상까지도 소개해 볼 예정입니다. 1. 개요 흑점관측필터라고들 많이 부르는 ND필터는 위의 사진처럼 망원경의 경통의 후드에 끼울 수 있도록 만들어 졌습니다. 포일같은 재질로 되어있는 것도, 위의 사진처럼 유리로 되어있는 것도 있습니다. 어느것이 좋다고 말하기는 애매하며, 금액, 재질, 내구도 .. 2022. 5. 15. 기후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지구 환경 변화를 시뮬레이션으로 알아보기 앞으로 몇 번은 더 환경에 관련된 포스팅을 할 예정인데요, 해양과 대기가 맞물려 돌아가는 자연현상이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은 지난 해수면 상승에 관련된 포스팅과 다소 중복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남극과 북극 빙하가 녹았을 때 벌어질 일 남극 빙하와 북극 빙하가 녹으면 벌어질 일(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남극이나 북극의 빙하가 녹아 없어지고 있다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넜다는 다소 가슴아픈 이야기도 전해져 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kalchi09.tistory.com 지구 온난화라는 말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과학용어인데, 정확한 의미는 대기 중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지.. 2022. 5. 12. 보웬의 반응 계열 - 교과서에서 사라져버렸지만 매우 중요한 오래전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는 보웬의 반응계열(Bowen's reaction series)이 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보웬의 반응계열은 대학 학부생들도 달달 외울만큼 엄청 중요한 내용입니다. 마그마에서 광물 결정이 정출되는 과정, 규산염 사면체의 결정 구조가 정해지는 논리, 풍화 침식에 잘 견딜 수 있는 이유 등 너무나 많은 이야기를 보웬의 반응계열 하나만으로 설명이 가능하기에 엄청나게 중요한 내용인데, 어찌된 연유인지 교육과정에서 빠졌고, 이제는 대학 교육과정에서만 볼 수 있는 이야기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인이 되어버린 보웬의 반응계열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보웬의 반응계열은 교육과정에서는 빠졌지만, 고등학생들도 알아두면 지구과학1은 물론 2의 관련 단원을 이해하는데 한 축.. 2022. 5. 3.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