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과서 밖 지구과학131

대기를 해석하는 그래프 단열선도(Skew T - Log P digram) 단열선도라는것은 연직방향으로 대기의 기온과 이슬점 온도, 풍향, 풍속 등을 관측한 결과를 온도와 압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에 표현한 그래프를 말합니다. 기상청에서 라디오존데(레윈존데)를 하루에 오전 9시와 오후 9시에 걸쳐 두 차례 띄운 결과를 수신하여 그래프로 나타냅니다. 그밖에 태풍과 같은 특별한 기상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는 3시와 15시에도 추가로 띄워서 관측을 한다고 합니다. 이 때 사용하는 라디오존데는 지표로부터 고도 30km까지의 대기 상태를 관측한다고 합니다. 측정 장치를 풍선에 매달아 고층으로 띄워 올려진 라디오존데는 기압이 낮아지며 풍선이 터지면 지상으로 낙하해 버리는 일종의 1회용 장치..(ㅠㅠ)입니다(글과는 상관없지만, 핀란드나 프랑스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으며, 대당 가격은 14만.. 2022. 10. 7.
해수 침강의 원리와 물이 표면부터 어는 이유 강이나 호수가 언 곳을 가보면 알 수 있듯, 강이나 호수처럼 깊이가 조금 있는 물은 얼 때 표면만 얼 뿐 그 안쪽은 얼지않으며, 물고기들은 아무 문제없이 잘 살고 있습니다. 우리야 일상적으로 이런걸 보고 있어 이것이 크게 신기한 부분이 아니지만, 사실 물 말고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건 거의 없다 생각해도 됩니다. 보통, 물질이 얼면 전체가 다 얼어버리지 물처럼 표면만 어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희안하게 물 만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데, 오늘은 이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이 내용이 중요한건 해수의 침강과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1. 물의 특이한 수소결합 물은 분자 내 전자의 분포가 다소 독특합니다. 수소쪽에는 전자가 없고 산소쪽에만 전자가 몰빵(?) 되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산소 쪽은 - 전하를.. 2022. 10. 6.
지상풍의 개념 - 왜 바람은 고기압 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불어 나가고, 저기압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불어들어 올까? 그동안 지균풍, 경도풍에 대한 글은 남겼는데 정작 지상풍에 관한 글을 남기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아버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상풍에 대한 내용과 함께 고기압과 저기압에서 왜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어 나가고, 반시계 방향으로 불어 들어오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과 연관된 다른 글들입니다. ** 지균풍 상층 대기의 바람 - 지균풍 이번 포스팅부터는 온대 저기압을 설명하기 이전에 상층 대기에서 부는 바람의 유형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상층 대기에서 부는 바람에는 크게 지균풍과 경도풍이 있는데, 이번에는 지균풍에 kalchi09.tistory.com ** 경도풍 상층 대기의 바람 - 경도풍 지난 포스팅에서 지균풍에 대한 내용을 보았습니다. 상층 대기의 바람 - 지균풍 이번 포스팅부터.. 2022. 10. 3.
해수의 심층순환(열염순환) 1. 열염순환의 기본 해수 순환은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풍성순환과 열염순환이 그것입니다. 해양 관련 포스팅에서 계~~속 언급하고 있는 내용인데, 바닷물이 흐를려면 압력 차이가 발생해야 합니다. 풍성순환은 바람이 표층 해수의 경사를 만들고 이로이해 압력경도가 발생, 바닷물이 흐르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표층 해수가 이렇게 흐럽니다. 열염순환은 풍성순환과 압력경도가 발생하는 원인이 다릅니다. 정 역학적 방정식을 다시 보면 입니다. ρ는 밀도, g는 중력가속도, z는 깊이인데, 같은 깊이 z에서 중력가속돠 당연히 일정하다면, 압력차이는 오로지 ρ에 의해 발생합니다. 사실 ρ도 해수에서 크게 변하지 않으나(어느정도 차이냐면 단위가 g/cm^3에서 1.027~1.029 이정도 .. 2022. 9. 29.
퇴적암 1 - 퇴적물과 퇴적작용 본 포스팅에서는 퇴적암에 대한 이야기를 좀 풀어볼 까 합니다. 알고보면 재미있는 지질학이라는 내용으로 퇴적 구조에 대해서는 다룬적이 있는데, 정작 퇴적작용이나 퇴적암에 대한 이야기는 한 적이 없더라구요. 이에 여기서는 퇴적물과 퇴적작용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이후 퇴적암의 종류에 대하여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후, 사암의 자세한 분류방법도 다루어 보겠습니다. 1. 퇴적물 퇴적물이라는것은 물이나 바람과 같은 것에 실려서 운반되는 돌부스러기를 총칭합니다. 이런 돌부스러기들은 입자의 크기나 모양, 기원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류합니다. 가. 입자의 크기에 따른 분류 언젠가 부터 보니 지구과학1 교과서에도 입자의 크기에 따라 퇴적물을 정량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이 실려있는것을 보았습니다. 교과서에서는 구체적으로 언급.. 2022. 9. 20.
해수의 정 역학적 평형 정 역학적 평형은 대기나 해양의 움직임을 다루는데 있어 모두 굉장히 중요한 내용입니다. 또한 천체 단원에서도 주계열성의 평형 상태를 다루는데도 이용됩니다. 대기 단원에서도 다루지만, 해양 카테고리에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 역학적 평형이란, 중력과 수압경도력(또는 기압경도력)이 평형을 이루어, 물이나 공기가 연직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위 그림과 같은 상황입니다. 대기도 그렇고 해양도 마찬가지인데, 대기의 경우 고도가 높을 수록 기압이 감소, 기압경도력이 연직 위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해양도 마찬가지입니다. 깊은 곳보다 얕은 곳에서 수압이 작고, 수압 경도력은 당연히 위쪽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모두 연직 위 방향으로 상승하는 움직임이 나타나야 하는데, 실제로는.. 2022. 9. 11.
해수를 움직이는 힘 - 수압경도력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수를 움직이는데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수압경도력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위 그림은 제가 수업시간에 수압경도력이나 기압경도력에 대하여 설명할 때 많이 활용하는 사례입니다. 공기도 그렇고 물도 그렇고 흐름이 발생하는건, 두 지점간의 압력차이 때문입니다. 물이던 공기던간에 압력차이가 발생하면,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름이 발생하여, 압력차를 해소해 주려 합니다. 영화같은거 보면 우주선에 구멍 뚫리면, 우주선 안에서 밖으로 죄나 튀어나가는걸 볼 수 있습니다. 우주선 안은 공기가 많고, 밖은 공기가 없어서 우주선 안에서 밖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한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1. 바다에서 생기는 수압경도 압력차가 생기는 이유는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절대 양.. 2022. 9. 8.
몬순(monsoon) 순환(계절풍) 우리나라에서는 계절풍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바람의 흐름이 있습니다. 몬순(monsoon)이라는 것인데, 주로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계절별 대기 흐름의 변화와, 이로인해 나타나는 건기와 우기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를 예로 들면 여름에는 따뜻하고 습한 남동계절풍이, 겨울에는 차갑고 건조한 북서계절풍이 불어오는데 이것이 대표적인 계절풍의 사례입니다. 1. 원인 1- 대륙과 해양의 비열 과거 몬순의 원인을 이야기 할 때 단순히 대륙과 해양의 단순한 비열차이만을 언급하였습니다. 물은 비열이 크고, 땅덩어리는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이로인해 여름에 대륙은 빨리 가열되어 온도가 금새 높아지고, 해양은 상대적으로 천천히 가열되어 대륙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습니다. 때문에, 여름에 대륙에는 .. 2022. 9. 7.
신기한 해류 - 인도양의 북적도 해류 인도양은 인도 아래쪽의 북반구 저위도와 함께 경도대가 비슷한 남반구 전역에 해당하는 바다입니다. 이곳 해역은 얼핏보면 눈치채기 힘든데, 자세히 째려보면 다른 대양과는 조금 다른점이 하나 있습니다. 태평양이나 대서양에서는 보이지 않는 재미있는 특징인데, 남북방향으로 대륙에 완전히 막혀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태평양이나 대서양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특이한 대륙 분포입니다. 1. 대륙분포에 의한 계절적 대기 흐름 변화 인도양 북쪽의 북반구 대륙 분포의 특이한 점은 대기 흐름에 큰 영향을 줍니다. 더군다나 인도의 북쪽에는 히말라야 산맥까지 위치해 있습니다. 이러한 대륙분포에 의해 남북 방향의 독특한 대기 흐름이 발생하는데, 이게 잘 알려진 몬순(Monsoon) 순환, 또는 계절풍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몬순에 대해 .. 2022. 9.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