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과서 밖 지구과학/천문32

생각만큼 어둡지는 않은 암흑성운 암흑성운은 지구과학 교육과정에서도 다루는 중요한 성운 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것은 그림 1에도 있는 말머리 성운인데, 말머리 성운 외에도 수 많은 암흑성운이 많다. 오늘은 암흑성운을 주제로, 교과서에서는 깊이있게 다루지 않지만, 천문학자들에게는 중요한 내용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1. 암흑성운이란? 성간물질(Interstellar medium, ISM) 중에서 빛을 내지 못하는 천체를 말한다. 성운 뒤에있는 별빛이 이를 통과하지 못하여 검게 보이는 성간물질을 통칭한다. 주의할것은 가시광선에서 보았을 때 어둡다는 것이지 다른 파장에서도 어두운것은 아니다. 2. 어떤 물질로 되어있나? 대부분의 성간물질이 그렇듯, 암흑성운 역시 대부분 가스로 되어있고, 그 중에서도 수소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내부 온도.. 2020. 11. 17.
산개성단과 구상성단 바로알기 산개성단과 구상성단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중요한 내용이다. 하지만, 굉장히 적은 부분, 예를들어 나이라던가 색과 같은 극히 적은 부분만 다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이 자세히 알기 어렵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개성단과 구상성단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언급해 보려고 한다. 1. 산개성단 산개성단은 수천개, 혹은 그 이하의 개수 수준의 별이 불규칙적으로 놓여있는 성단이다. 보통 하나의 분자구름에서 동시에 탄생하며, 구성 별들이 상호간의 중력 범위안에 놓여있기는 하나, 중력이 작은편이여서 탈출속도가 작아 오랜시간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한다. 이는 다시말하면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는 구조가 와해되어 구성 별들이 뿔뿔이 흩어진다는 소리이다. 그래서 나이가 많고 늙은 별이 주를 이루는 산개성단.. 2020. 6. 25.
2020.6.21. 촬영한 부분일식 지난 6월 21일, 그러니까 일요일 오후에 부분일식이 있었습니다. 앞으로 10년간은 보지 못할 부분일식이라기에, 그리고 한번도 광시야에서 타임랩스로 찍어 본 경험이 없어서, 비교적 광시야에 타임랩스로 촬영해 보았습니다. Canon 5D mark4 70-200mm F/2.8 IS II 부분일식이나 개기일식에 대해서는 추후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2020. 6. 24.
허블의 법칙은 허블-르메트르의 법칙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feat. 조르주 르메트르) 지구과학 2 천체 단원에서는 절대 잊어서는 안될, 아니 천문학 자체에서 너무나도 중요한 법칙 중 하나가 허블의 법칙이다. 외부은하의 적색편이를 관측하여 우주 팽창의 직접적인 증거가 되었으며, 당시로서는 경이로운 법칙 중 하나였다. 그런데 허블의 엄청난 발견에 의해 다소 그 역할이 빛 바래져버린 안타까운 과학자이자 카톨릭 사제였던 사람이 있다. 바로 조르주 르메트르(Georges Henri Joseph Édouard Lemaître)이다. 르메트르는 허블보다 먼저, 아니 최초로 우주의 팽창과 대폭발 이론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한 사람이다. 또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빅뱅이론은 가모를 필두로 한 학파에 의해 제시되었다고 알 고 있으나, 사실 최초의 아이디어는 르메트르에 의해 제시되었다. 여기서 잠시 역사적 .. 2020. 4. 24.
겉보기 등급과 절대등급 - 성간적색화 보정과 겉보기등급 결정 지난 포스팅에서 대기에 의한 대기소광보정, 색초과에 대하여 작성하였다. 색초과는 관측된 색지수에서 원래 색지수를 빼는 것으로, 성간적색화현상에 의해 색지수가 증가함이 원인이라 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만약 처음 관측된 어떤 별이 있다고 하자. 관측된 색지수야, 이 별을 관측하고 결정하면 되는데 최초로 관측된 별이니 당연히 원래 색지수를 모른다. 색초과 값을 모르니, 다시말해 얼마나 성간적색화가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가 없다. 예를들어 관측된 색지수가 0.2고 이 별의 원래 색지수가 0.1이라면, 0.1만큼의 성간적색화가 발생한 것이다. 관측된 0.2에서 0.1을 빼 주어 성간적색화현상이 발생한 만큼을 보정해 주는데, 이를 성간적색화보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원래 색지수를 모르면 이를 수행할 수.. 2020. 4. 8.
색지수와 색초과 별의 물리량을 측정하거나 별의 등급을 결정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색지수와 색초과이다. 본 포스팅에서는 색지수와 색초과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1. 색지수 색지수(Color indelx, CI)란, 쉽게 말해 별의 색깔을 숫자로 표현해 놓은 것이다. 어떤 방법으로 숫자로 표현하느냐... 예전에는 사진으로 관측한 밝기와 눈으로 관측한 밝기의 차로 계산했다고 한다. 사진으로 찍은거나 눈으로 본거나 밝기가 같으니 빼봐야 0이 아니냐 생각할 수 있지만, 사진은 청색 빛에, 우리 눈은 녹색 빛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등급이 약간 차이가 난다고 한다. 이를 이용해 색을 표현하였다. 그런데 이 방법은 정확하지 못하다. 때문에 현대에서는 B filter에서 관측한 밝기와 V filter에서 관측한 밝기.. 2020. 4. 5.
대기에 의한 별빛 감소 - 대기소광계수 지난 포스팅에서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에 대해 알아보았다.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의 기본 개념 천문학자들이 연구를 수행할 때 여러가지 물리량을 측정하는데, 그 중 하나가 별의 밝기이다. 별의 밝기는 과거에도 측정하였고, 지금도 측정하고 있다. 단지 그 방법이 달라졌을 뿐이다. 별의 kalchi09.tistory.com 과학자들은 여러가지 검출기를 이용해 겉보기 등급을 측정한다. 그런데 겉보기 등급을 측정할 때 큰 문제점이 하나 있는데, 이는 바로 지구 대기이다. 별빛은 지구대기를 통과함에 따라 지구대기에 흡수되기도, 산란되기도 하여 원래 밝기보다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지구 대기를 통과한 별의 겉보기 등급은 많지는 않지만 다소 증가하게 되고, 특히 대기 상태에 따라서도 증가 폭이 달라진다. 예를들어 대기.. 2020. 3. 22.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의 기본 개념 천문학자들이 연구를 수행할 때 여러가지 물리량을 측정하는데, 그 중 하나가 별의 밝기이다. 별의 밝기는 과거에도 측정하였고, 지금도 측정하고 있다. 단지 그 방법이 달라졌을 뿐이다. 별의 밝기를 나타내는 요소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바로 겉보기 등급과 절대등급이다. 천문학자들은 지금도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으로 별의 밝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본이 되는 굉장히 중요한 개념이다. 그래서, 중, 고등학교에서도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을 빠지지않고 가르치고 있다. 겉보기 등급과 절대등급은 인터넷이나 참고서를 통해 그 개념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와 관련된 글을 작성하는것은, 겉보기 등급과 절대등급이 무엇인지부터 시작하여 천문학자들이 이들을 어떻게 측정하는지 까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포스팅을 여러개.. 2020. 3. 21.
세페이드 변광성의 P-L관계(주기-광도관계)(유도와 함께 알아보기) 세페이드 변광성은 지구과학II 에서 외부 은하의 거리를 측정하는 척도로 다루어지는 중요한 항성으로 배우고 있다. 또한 실제로 천문학자들이 중요한 거리측정의 척도로 활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여기서는 세페이드 변광성과 관련된 여러가지 사실에 대하여 설명해 보겠다. 1. 발견 1890년대 여성 천문학자 헨리에타 스완 레빗(Henrietta Swan Leavitt)은 하버드 컴퓨터팀이라 불리우는 연구팀의 전산보조요원이었다. 에드워드 찰스 피커링에의해 고용되어 각종 계산을 도맡아 하였는데, 이처럼 단순계산을 하는 여성 팀을 피커링의 하렘이라고 불렀다. 특히 많은 여성 보조요원들이 고용되었는데, 남성들이 별 쓸모가 없고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 한다. 레빗의 임무는 사진건판에 찍힌 수 많은 항성을 분류하는.. 2020.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