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과서 밖 지구과학/천문32

천체 관측 최악의 방해꾼 빛공해 얼마 전 서울 N타워 방문 후기에 대한 글을 포스팅 하였습니다. 서울의 야경이 아름답다는 분들이 많으며, 이해가 가는 부분이긴 합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 서울 남산 꼭대기에서 바라본 서울의 인공 조명들, 솔찍히 좀 징그러웠습니다. 별이 보여야 할 하늘에 별은 단 하나도 보이지 않았고, 오로지 도시의 불빛 뿐이었습니다. 위의 사진은 제 블로그의 메인 사진이기도 한, 태기산에서 촬영한 은하수입니다. 서울의 밤하늘과 태기산의 밤하늘 중 어느 밤하늘이 얘쁘냐 묻는다면, 당연히 태기산의 밤하늘일 것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한국 사람들의 대부분은 큰 도시에서 살고 있고, 아마 평생 저렇게 아름다운 밤하늘, 특히 은하수가 무엇인지 본 적이 없는 분들이 허다할 것입니다. 실제로 2015년도에 학생들과 고속버스 터미.. 2022. 5. 15.
태양 필터를 이용한 태양 관측 - 흑점 관측과 주연감광현상 태양을 관측하는 방법은 정말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맨 눈으로 관측 할 수도 있고, 봉지과자의 봉지를 눈에 대고 볼 수도 있습니다. 오늘 설명할 내용은 태양필터 중 흑점관측필터(ND 필터)를 사용하여 태양을 관측했을 때 볼 수 있는 자연현상입니다. 잘 알려진 것처럼 흑점 관측 필터를 이용하면 태양의 흑점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흑점 뿐 아니라, 보통 그냥 간과하고 넘어가는 주연 감광(limb darkening)현상까지도 소개해 볼 예정입니다. 1. 개요 흑점관측필터라고들 많이 부르는 ND필터는 위의 사진처럼 망원경의 경통의 후드에 끼울 수 있도록 만들어 졌습니다. 포일같은 재질로 되어있는 것도, 위의 사진처럼 유리로 되어있는 것도 있습니다. 어느것이 좋다고 말하기는 애매하며, 금액, 재질, 내구도 .. 2022. 5. 15.
명왕성 -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된 이유 명왕성은 미국의 클라우드 톰보에 의해 1930년에 발견된 태양계의 왜소행성입니다. 발견 당시에만해도 어엿한 행성이었지만, 2006년 IAU는 태양계 행성을 새롭게 정의하면서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해 버렸습니다. 오늘은 바로 이 명왕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궂이 인터넷을 뒤지면 수도없이 많이 나오는 정보임에도 포스팅하려는 이유는, 명왕성의 태양계 퇴출 이유가 대부분 다소 어렵게 설명된 측면이 없지않아 있어, 이를 최대한 쉽게 풀어서 이야기 해 보려 함입니다. 또한, 너무 많은 내용보다는 꼭 알아두면 좋을 법한 내용만 추려서 이야기 해 보고자 하니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는 분들은 위키피디아나 관련 서적, NASA 홈페이지를 참고하는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1. 발견의 역사 서두에.. 2022. 4. 30.
신기한 토성 - 태양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성 태양계에서 2 번째로 큰 행성인 토성은 밤하늘에서 꾀나 밝은 별로 보여, 목성만큼은 아니지만 굉장히 찾기가 쉽고, 소형 망원경으로도 고리를 확인할 수 있어 천체관측을 할 때 단골로 보는 대상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이 토성에 대한 이야기 중 잘 모를 수 있는 내용들 위주로 다루어 볼 까 합니다. 1. 개요 목성과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뒤지면 수없이 많이 나오지만, 글의 흐름 상 중요한 토성의 스펙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궤도 긴반지름 : 9.54AU(1,426,725,413km) 이심률 : 0.054 공전주기 : 10,756.1995일(29.45년) 회합주기 : 378.1일 평균공전속도 : 9.639km 적도 기준 지름 : 120,536km(지구의 9.4배) 편평도 : 0.097 부.. 2022. 4. 27.
신기한 목성 - 우리가 그냥 지나쳤을 법한 목성의 신비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 부피와 질량이 가장 큰 행성으로, 조금만 더 컸으면 별이 될 수 있었을 뻔한 어찌보면 비운의 행성(?) 이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몰랐던 신기한 목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1. 목성의 개관 목성의 부피, 질량 등과 같은 기본적인 스펙은 다른 곳을 찾아도 많이 나오지만 글의 흐름상 우선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궤도 긴반지름 : 5.2AU(778,547,200km) 근일점과 원일점 : 4.95AU, 5.46AU 공전주기 : 11.86년 궤도 경사 : 1.3도 궤도 이심률 : 0.048 위성 수 : 79개(엄청 많네요;;;;;) 지름 : 139,822km 부피 : 1.431×10^15km³ 밀도 : 1.326g/cm³ 질량 : 1.9×10^27kg 중력 : .. 2022. 4. 26.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 주계열 맞추기 지난 포스팅에서 연주시차를 이용하여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다.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 연주시차 천문학자들은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해서 별의 거리를 측정하고자 한다. 그 중에서 직접적인 방법으로 측정 할 수 있으며, 오차가 가장 적은 방법 중 하나가 시차를 이용한 측정 방법이다. 이번 kalchi09.tistory.com 연주 시차를 이용한 별의 거리 측정방법은 정확도가 매우 높지만, 멀리 있는 천체는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너무 멀리있는 천체의 경우 연주 시차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할 수 없다. 연주시차를 이용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많이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주계열 맞추기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히아데스 산개성단의 경우 47pc으로 비교적 거리가 가까운 성단이기 때문에, 겉보기.. 2022. 2. 11.
아날렘마 - 태양이 1년동안 하늘에 그리는 8자(스텔라리움 타임랩스) 1년동안 같은 장소에서 같은 방향으로 태양을 촬영하면 위 사진과 같이 매일 태양의 위치가 달라지며 나타나는 8자 곡선이 나타난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변을 공전함에 따라 나타나는 태양의 고도 변화와 평균 태양시를 사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균시차(추후 포스팅할 예정)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태양의 시운동 현상으로, 태양이 1년 동안 그리는 8자 곡선을 아날렘마(analemma)라고 한다. 아날렘마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같은 시간(예를들어 오전 10:00), 같은 장소에서 카메라의 각도가 전혀 틀어지지 않은 채로 촬영해야지만 1장의 사진을 건질 수 있는 초 고난도, 노가다의 산물이다. 특히 날씨의 영향을 무지하게 많이 받는 관계로 연속적인 타임랩스를 촬영하기란 거의.. 2022. 2. 9.
천체 망원경 구매시 고려해야 할 요소 - 망원경 구매 가이드 천체관측이라는 취미를 갖게 된 것은 대학교 1학년 때 부터이고, 망원경이라는 것을 구입하면서 활동을 한 것은 10년이 조금 넘는다. 이 기간 중 과학고 천문대에서 5년을 근무하며 평생 만져보지도 못할 값비싼 망원경을 만져본 경험도 있고, 여러 기관을 다니며 특강도 많이했다. 광학 분야가 아닌 전파 천문학 분야로 학위 연구를 하긴 했으나 어쨌든 학위도 천문학으로 받았으니, 아마추어 활동부터 시작하여 천문학 분야로는 다양하게 이것저것 해 본것 같다. 그러다보니 주변에 아는 분들이 망원경 구입과 관련하여 많은걸 물어보곤 한다. 그도 그럴것이 주변에 마땅히 물어볼 곳이 없으니 그나마 활동을 하고 있는 필자에게 많이 물어보는 것 같다. 이에 천체 망원경 구입을 고려하는 분들이 자료를 찾으며 도움이 될 내용을 조금.. 2022. 2. 4.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 연주시차 천문학자들은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해서 별의 거리를 측정하고자 한다. 그 중에서 직접적인 방법으로 측정 할 수 있으며, 오차가 가장 적은 방법 중 하나가 시차를 이용한 측정 방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인 연주시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번외지만, 연주시차만큼 정확한 거리 측정방법이 있는데, 이는 운동성단을 이용한 운동성단 시차(moving cluster parallax)라는 방법이 있다. 이는 나중에 포스팅할 예정) 1. 역사 연주시차의 역사는 꾀 오래전인 15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에 관측을 엄청 잘했던 것으로 유명한 티코 브라헤라는 천문학자가 있었는데, 티코는 여러가지 이유로 지동설(태양이 우주의 중심에 있고, 지구는 태양 주변을 .. 2022. 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