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1

대륙이동설과 판구조론의 차이 판 구조론은 지질학의 한 축이 될만큼 매우 중요한 내용이며, 많은 영역에서 판 구조론과 엮여있는것이 굉장히 많다. 심지어 풍화, 침식과 같이 판 구조론과 큰 연관성이 없을것 처럼 보이는 분야까지도 판 이동과 관련이 있다. 다른 과학의 발전과정도 마찬가지이지만, 판 구조론 역시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이전 이론의 발전 과정에서 나왔다. 판 구조론의 시작은 잘 알려진 대륙이동설이다. 대륙이동설은 알프레드 베게너가 주장한 이론이다. 대륙이동설이 세상에 알려지기 전에는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화석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생물들이 육교와 같은 지형을 통해 두 대륙을 왕래했다는 육교설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베게너는 우연히 이 육교설과 관련된 논문을 보게 된 것을 계기로 대륙이동설을 생각해 냈다고 한다... 2020. 2. 6.
일주운동 사진 촬영하기 중학교 과학 교과서나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는 위와 같은 일주운동 사진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고, 교육과정에서 일주운동을 다루고 있어 학생들은 최소한 시험을 위해서라도(응?) 외워야 하는 사진이다. 하지만 교과서에는 일주운동을 어떻게 촬영하는지 나와있지는 않다. 사실 학생들이 궂이 일주운동을 찍어 볼 필요가 있을까 생각되기도 하고, 학교 현장에서 일주운동 촬영 실습을 실제로 할 여건도 되지 않는다. 하지만, 교과서에서 방법 만이라도 언급해 주면 어떨까 하는 아쉬운 생각이 든다. 그래서 여기서 일주운동을 촬영하는 방법을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 보고자 한다. 1. 필름 카메라 시절엔 어떻게 찍었을까? 지금처럼 DSLR이 없고 필름 카메라만 있던 시절이 있었다. 약 2000년대 초반 부터 슬금슬금 DS.. 2020. 2. 3.
햇무리와 달무리 온대저기압이 형성되면, 온난전선 전방에 층운형 강수구름이 형성되고, 이로인해 햇무리(sun halo)나 달무리(moon halo)가 생길 수 있다. 항상 그런것은 아니지만, 햇무리는 아래 그림에서 Stratus Clouds(층운형 구름)라고 써 있는 오른쪽 전방 쯤 되는 구름에서 생긴다. 온대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동진한다. 때문에 해무리나 달무리가 생긴다는건 곧 층운형 구름이 접근하기 때문에 강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관측자 방향으로 온대저기압이 접근하면, 구름은 권운->권층운->고층운->난층운 형태로 바뀌게 된다.(그러나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여기서 주로 권층운이 해무리의 원인이 되는 구름이다. 권층운이 끼고, 조건이 잘 맞으면 태양 주변에 원형 무지개가 생긴다. 각 반지름은 .. 2020. 1. 29.
지평좌표계와 적도좌표계의 고찰1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지구과학I에 지평좌표계와 적도좌표계가 나와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지구과학II로 변경되었다. 난이도를 생각했을 때 지구과학II에서 가르치는것이 맞긴 한것 같다. 지평좌표계와 적도좌표계는 많은 참고서, 교과서, 인터넷 등을 찾아보면 얼마든지 나와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른 방향의 접근을 해 보도록 한다. 지평좌표계는 방위각과 고도로 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좌표계이다. 그런데 지평좌표계를 소개할 때 천체의 위치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좌표가 고정되있지 않고 계속 변화하고,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서도 같은 천체라도 좌표가 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고 설명한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이것은 지평좌표계의 단점이 아니고 특징이라고 보는것이 더 합당하다는 생각이 든다. 지평좌표.. 2020. 1. 6.
해수의 염분 단위는 어째서 퍼밀(‰)에서 psu로 바뀌었을까? **함께보시면 좋습니다 해수의 염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위도별 염분분포 해수의 수온이나 염분은 해수 밀도에 영향을 주고, 해수의 흐름에도 변화를 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물리량이기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해양을 연구할 때 반드시 측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kalchi09.tistory.com 환경에 따라 해수 1kg에 녹아있는 염분이 다르기 때문에 바닷물마다 염분의 양이 달라진다. 또한 미세한 염분의 차이로 바닷물의 흐름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해수의 염분을 측정하는건 해양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해양학자들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해수 중 염분의 양을 측정하여왔다. 다만 그 방법이 달라졌을 뿐이다. 염분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지식 중 하나가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다. 염분비.. 2020. 1. 1.
제임스 허턴과 동일과정의 법칙을 비롯한 지사학의 5대 법칙은 어째서 중요하게 다루어질까? 교과서가 아무리 개정되어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법칙 중 하나가 지사학의 5대 법칙이다. 제임스 허턴(James Hutton(1726~1797))이 주장한 동일 과정의 법칙은 지사학의 5대 법칙 중 하나이다. 지사학의 5대 법칙을 하나씩 곱씹어 보면, 하나같이 너무 당연한(?)이야기 처럼 들리고, 굳이 이런 당연한 것을 법칙이라고 배워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교과서에 있어 배우긴 하지만, 너무 당연하고, 쉽고, 재미도 없어서 사실 수업 시간에도 흥미있게 듣는 친구들이 없다. 하지만 당시 역사적 배경을 보면 달라진다. 수성론을 주장한 베르너라는 독일의 유명한 지질학자가 있었다. "수성론"이란 말 그대로 지층이 물에의해 만들어졌다는 이론인데, 창조론과 맥을 같이한다. 쉽게 얘기해 물에 떠다니던 퇴.. 2019. 12.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