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인하대학교 등과 같은 대학에 개설되어있는 학과이다. 학부과정에서 해양학과 관련된 내용을 배우게 된다. 해양학에서 배우는 내용은 고등학교 지구과학시간에 배우는 내용을 포함하여 바다 전반에 걸친 내용을 배우게 된다. 해양학이라는 학문은 크게 물리해양학, 화학해양학, 지질해양학, 생물해양학으로 구분된다고 한다. 이 중 고등학교 지구과학시간에는 생물해양학을 제외한 물리해양학, 화학해양학, 지질해양학을 수박 겉 핥는 수준으로 배운 것이다.
어떤 과목을 배우게 될까? 여기서는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교과과정을 기준으로 보도록 할 것이다.
학년 | 교과명 |
1 | 대기환경과학개론, 해양학개론, 통계학개론, 생명과학, 수학, 지질환경과학개론, 일반화학, 컴퓨팅사고, 기초컴퓨터 프로그래밍 |
2 | 통계학개론, 생명과학, 수학, 지질환경과학개론, 일반화학, 해양의애해, 수리과학개론, 생물해양학, 물리해양학, 화학해양학, 복합원격탐사, 지질해양학, 자료분석을위한 파이썬 |
3 | 해양생태학, 해수 순환 및 실험, 부유생물학 및 실험, 해양퇴적학 및 실험, 수산해양교육론, 해양조사 및 실습, 해수분석화학 및 실험, 해양식물플랑크톤생태학, 수산해양학, 해양자료해석, 해산식물학 및 실험, 하구 및 연안 생태학, 극지해양학, 수산해양논리논술, 해빙생태학 |
4 | 해양지화학, 지구시스템의이해, 해양무척추동물학 및 실험, 수산해양교재연구 및 지도법, 해양기상학, 위성해양학, 해양환경과 오염 |
사실 필자도 지구과학교육과를 나온 것이지 해양학과를 나온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양학과에서 다루는 교육과정을 잘 모르지만, 지구과학이라는 교과목의 성격상, 통계학개론, 수학, 기초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과같은 과목을 해양학과에서 왜 해야하나 정도는 이해가 될 듯 싶다.
우선 학부 과정에서 물리 해양학, 화학 해양학, 지질해양학, 생물해양학 중 석사 또는 박사의 진로로 어떤것을 선택할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기초적으로 수학이나 생명과학을 배워야 하는것은 기본이다. 특히 물리해양학은 그냥 물리다. 깊이 알면 알 수록 어렵다. 때문에 수학은 필수이다.(사실 자연계열 대부분의 학과에서 수학은 필수인것 같다.)
프로그래밍이나 파이썬은 왜??? 요즘 대부분의 데이터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특히 해양학처럼 광범위한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같은 경우 수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며 여기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나 과학적 법칙을 도출해 내야하기 때문에 통계처리는 필수이고, 당연히 요즘 프로그램의 대세인 파이썬 역시 필수로 배워야 한다. (파이썬은 천문학 분야에서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해양학과를 나오면 진로는?
1. 석, 박사를 통해 전문연구원의 길을 가능 방법이 있다.
2. 학사나 석사, 또는 박사 졸업 후 해양수산부,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방재청, 국립수산과학원과 같은 정부기관이나 해양환경관리공단, 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에 취직할 수도 있다. 삼성중공업, 현대건설, 대우조선해양, LS전선, 아라종합기술, 해양과학기술 등과같은 민간기업 취업도 당연히 가능하다. (출처 :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참고)
3. 사범대학이 있는 대학교의 경우 교직이수를 통해 지구과학교사의 길을 갈 수도 있다.
내가 알기로 해양학과 관련된 자격시험이 있는것으로 알고있다. 해양환경기사나 수질환경기사, 해양공학기사 등이 이것이다. 이런 기사 자격증을 미리 취득해 놓으면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기사 자격증은 졸업자 및 졸업이 얼마남지 않은 졸업 예정자만 시험을 볼 수 있어 학부 고학년은 되어야 시험 응시가 가능할 것이다.
**내용에 오류가 있거나 궁금한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좋아요와 댓글은 작성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교과서 밖 지구과학 > 해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의 과거 지진해일 사례 (1) | 2020.02.22 |
---|---|
지구 온난화와 열염순환 (2) | 2020.02.17 |
해파(파도)의 여러가지 종류 (23) | 2020.02.13 |
해수의 수온과 염분 등을 측정하는 무인장비 ARGO (0) | 2020.02.10 |
해수의 염분 단위는 어째서 퍼밀(‰)에서 psu로 바뀌었을까? (1) | 2020.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