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과서 밖 지구과학/기상33

한반도의 위험했던 태풍 - 셀마를 아시나요? 태풍 셀마(Thelma)는 1987년 우리나라를 습격하였던 유래없이 강한 태풍 중 하나였다. 최 전성기였던 7월 11일을 기준으로 최저기압은 911hPa, 10분 평균 최대풍속 51m/s, 1분 평균 최대풍속 65m/s, 최대 크기는 반지름 930km였다고 한다. 강력한 세력으로 고흥 반도에 상륙하여 대한민국에 큰 피해를 냈으며, 한반도에 상륙한 7월 태풍 중에서는 가장 강한 태풍으로 평가되고 있다. 셀마의 특징은 1) 영향범위가 매우 넓었다. 발생 초기부터 대형의 크기를 유지하며 상륙했다고 한다. 2) 고흥반도를 거쳐 한반도를 남서에서 북동으로 종단하는 경로를 거쳐 전라도 동부, 경상도, 강원도 일대에 매우 강한 바람이 불었고, 남부 지방에서는 기록적인 풍속이 잇달아 여수 40.3m/s, 통영 39.6.. 2020. 2. 22.
번개칠때 주의사항 - 번개사진 촬영하기와 함께 이번 글에서는 번개가 치는 장면을 카메라에 담는 방법, 그리고 번개가 칠 때 위험할 수 있는 상황 2가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1. 번개사진 촬영하기 포털이나 구글에서 번개사진이라는 단어로 검색을하면 수없이 많은 번개사진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저리도 많은 사진이 검색이 된다는 소리는 찍는것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번개는 0.1초도 안되는 빠른 찰나에 번쩍하는데 번개가 치는 순간 셔터를 누른다는건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저걸 어떻게 하면 찍을 수 있을지 고민을 해 봤다. 그리고 내린 결론은.. ISO를 최대한 작게 하고, 조리개를 적당히 조이면, 노출시간이 부족해 셔터스피드는 길어지게 된다. 다시말해 ISO는 최대한 작게, 조리개는 가급적 조이고.. 2020. 2. 20.
온대저기압. 일기도와 위성사진으로 만나보자 중학교 과학과 고등학교 지구과학1, 지구과학2 등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저기압이 있다. 바로 온대저기압이다. 주로 봄과 가을철에 우리나라를 서에서 동으로 통과하며 비를 뿌리는 저기압으로, 우리나라의 날씨변화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들 역시도 매우 중요하게 배운다. 그리고 학생들은 아래와 같은 일기도를 눈에 못이박히도록 본다. 온난전선 전방 넓은 영역에서 약한 강수가, 한랭전선 후방 좁은 영역에서 강한 강수가 발생한다고 달달 외운다. 어느날 날씨가 흐리고 추적추적 비가오고 있었다. 일기예보에서는 온대저기압의 영향으로 어쩌구저쩌구 하는 말이 흘러나왔다. 이때다 싶어서 며칠 뒤,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천리안 인공위성과 지상 일기도 자료를 찾았다. 역시나 온대저기압이 지나간것이 보였다. 교과서.. 2020. 2. 11.
틴들현상 - 빛내림 현상 가끔 구름을 뚫고, 하늘에서 태양빛이 내려오는 경로가 보이는 때가 있다. 또는 울창한 숲에가면 빛이 내려오는 것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를 빛내림이라고도 하는 틴들현상(Tyndall phenomenon)이라고 한다. 원리는 간단하다. 공기중에 있는 부유 입자에 의해 지면으로 내려오는 빛의 일부가 산란되어 관찰자에게 보임으로써 빛의 경로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아무 입자나 되는 것은 아니다. 보통 콜로이드 입자라고 불리는 다른 입자들에 비해 다소 크기가 큰 입자들이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으면 이와 같은 현상이 잘 나타난다. 공기중에서는 수증기나 부유하는 먼지들이 있을 때 잘 나타난다. 틴들현상은 어렵지 않게 잘 관찰할 수 있다. 구름 사이로 파란 하늘이 보일 때나, 비가 내린 뒤 하늘이 갤 때 .. 2020. 2. 11.
구름의 종류 현행 과학 교육과정의 기상단원에서는 구름의 종류를 비중있게 다루고 있지 않다. 온대 저기압 관련 단원에서 단순히 층운형 구름 및 적운형 구름으로만 분류하고 있다. 실제 구름의 운형을 10가지로 구분하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보았을 때 지나치게 추상적인 분류가 아닐 수 없다. 기상 예보에서 중요한 것이 관측이고, 실제 운형을 관측하고 기록하여 예보에 활용한다는 점을 비추어 보았을 때 운형을 전혀 교육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특히 학생들이 운형을 배우고 실제 분류를 해 보는 것이 기상관측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여기서는 구름의 종류(운형)에 대해서 설명해 보고자 한다. 참고로 아래 사용한 사진들은 현재는 모두 인터넷에서 참조하여 넣어 두었는데, 운형별로 대.. 2020. 2. 8.
햇무리와 달무리 온대저기압이 형성되면, 온난전선 전방에 층운형 강수구름이 형성되고, 이로인해 햇무리(sun halo)나 달무리(moon halo)가 생길 수 있다. 항상 그런것은 아니지만, 햇무리는 아래 그림에서 Stratus Clouds(층운형 구름)라고 써 있는 오른쪽 전방 쯤 되는 구름에서 생긴다. 온대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동진한다. 때문에 해무리나 달무리가 생긴다는건 곧 층운형 구름이 접근하기 때문에 강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관측자 방향으로 온대저기압이 접근하면, 구름은 권운->권층운->고층운->난층운 형태로 바뀌게 된다.(그러나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여기서 주로 권층운이 해무리의 원인이 되는 구름이다. 권층운이 끼고, 조건이 잘 맞으면 태양 주변에 원형 무지개가 생긴다. 각 반지름은 .. 2020. 1. 29.
반응형